|
 |
|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전력거래소 전경사진(뉴시스 제공) | 전력 수급 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에서 전북이 전남에 밀려 수조 원대 투자 유치 기회를 놓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전북에 전력계통 시설이 집중된 상황에서 오히려 불리한 평가를 받는 불합리한 구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21일 전라매일신문이 취재한 전력거래소의 '2025년 1차 ESS 중앙계약시장' 전국 5개 시, 도 공모 결과에 따르면, 총 1조 5천억 원 규모의 사업지 중 제주를 제외한 육지 사업지 7곳이 모두 전남으로 선정됐다.
입찰 평가 기준인 '출력 제어 수준' 항목에서 전남은 만점인 12점을 받은 반면, 전북은 2.2점에 그쳤다.
지난해 전남의 출력 제어 횟수가 22회인 데 반해, 전북은 4회에 불과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아 송전 용량을 초과해 출력 제어를 자주 해야 하는 지역에 ESS 설치 필요성이 높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전북이 전력계통의 핵심 설비인 송전선로와 변전소를 떠맡고 있다는 점이다.
2036년까지 전북에 34만5000V급 변전소 4개와 송전선로 10여 개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며, 이 시설들은 전남 등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재생에너지 수송을 위해 '님비 시설'로 여겨지는 대규모 전력 설비를 설치하면서도, 정작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ESS 사업에서는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력거래소의 관계자는 "이번 공모사업은 전남지역 공모가 많았고 출력제어가 잦은 지역 위주로 진행하다 보니 전남이 다수 선정됐다"면서 "다음 2차 공모에서는 출력제어가 적은 지역도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1차 사업에서 이미 드러난 지역 편중 현상이 2차 사업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2038년까지 약 40조 원이 투입될 예정인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의 입찰이 계속해서 진행될 예정이어서, 특정 지역에 대한 편중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만약 이대로 평가 방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전북은 향후에도 수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2차 사업 입찰이 예정된 올 하반기 이전에 평가 기준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전북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때문에 정치권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력거래소의 불합리한 평가 기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재생에너지 수송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라도 입찰 배점 개선을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내 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전북은 전력 수송을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ESS 사업에서는 불합리한 평가를 받았다"며 "전북도와 정치권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주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