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탄소중립특별위원회가 도 및 도교육청의 탄소중립 추진 관련 4차 업무보고 청취하며, 탄소중립·산업 유치 현안을 질타했다. 타 시·도에 비해 산업 유치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이어지며, 이를 뒷받침할 강력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탄소중립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수, 익산4)는 24일 도청 환경산림국 등 5개 부서와 전북탄소중립지원센터, 전북도교육청을 상대로 제4차 업무보고를 청취하고, 전북도의 탄소중립 정책 대응과 추진 실효성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새롭게 설정된 탄소중립 정책 방향에 맞춰, 전북도 차원의 대응 전략과 주요 사업 추진 현황, 그리고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이행 실태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더불어민주당 서난이 의원(전주9)은 기후에너지부 유치전과 관련해 “전남은 조직적이고 전략적인 대 반해 전북은 명확한 입장조차 없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며 "더불어 학교 현장의 에너지 절감 실천도 미흡해 도교육청의 조례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 이행"도 강조했다.
국민의힘 이수진 의원(비례)은 기본계획 이행 현황과 관련, “지연되거나 미달성된 사업에 대한 원인 분석과 조치 계획이 부실하다”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예산 집행의 정밀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주12 지역구 국주영은 의원(더불어민주당)은 RE100 산업단지 유치 문제를 거론하며, “도내 이견으로 통일된 메시지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점이 치명적”이라며 지역 간 협력을 통한 전략적 대응을 강조했다.
정읍2 지역구 염영선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새만금 RE100 산업단지는 도내 재생에너지 전략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서남권 지역 포함 여부와 지역 안배 방안에 대해 도의 철저한 준비를 주문했다.
회의를 주재한 한정수 위원장(익산4)은 “수소 생산시설 등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도가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점, 울산으로 이전된 SK AI데이터센터, 무산된 새만금 유치 등 산업유치 실패 사례를 열거하며, 전북도의 대응은 직무유기”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전략 수립과 실행을 총괄할 전담 컨트롤타워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