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열 大記者 전북대 초빙교수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 입력 : 2023년 05월 21일
|
 |
|
ⓒ e-전라매일 |
| 최근 수목이 우거지는 5월을 맞아 뱀 출현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 달 16일에는 서울 도심의 한 아파트 단지에, 17일에는 익산 오산면의 주택에 뱀이 나타나 119대원이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독사는 독을 가진 뱀의 총칭으로 크게 살무사속과 코브라속으로 구분하며, 이 밖에도 종에 따라 더러 독을 지닌 뱀도 존재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독사들은 뱀과인 유혈목이와 코브라과인 바다뱀을 제외하면 다 살무사과다. 뱀의 독은 크게 둘로 나뉘는데 먹이의 신경을 마비시키는 신경독과 신체조직을 파괴하는 용혈독으로 나뉜다. 독사 감별법으로 ▲위에서 봤을 때 머리가 화살촉 모양이면 독사 ▲앞에서 봤을 때 머리가 사각형으로 각이 져 있으면 독사 ▲옆에서 봤을 때 머리가 상어 머리처럼 각진 형태면 독사 ▲눈동자가 아래위로 길게 찢어진 형태이면 독사 ▲몸통에 표범처럼 얼룩덜룩한 둥근 무늬가 있으면 독사(살무사) ▲몸통에 얼룩덜룩한 찌그러진 무늬가 있으면 독사(까치살무사) ▲몸통의 색이 적갈색이면 독사(쇠살무사) ▲몸 색깔이 초록색을 띄고 있는 뱀은 독사(유혈목이)이다. 독사에 물렸을 때 응급처치법으로 ▲뱀에게 다시 물리지 않을 위치까지 걸어서 떨어지고 그 뒤 119에 신고(뛰면 심박수가 올라 독이 더 빨리 퍼짐) ▲뱀을 죽인다거나 생김새를 확인하겠다고 시간을 지체하지 않기(한국에선 일단 살무사속 해독제는 응급실에 구비되어 있고, 게다가 의료진들도 대부분은 독사 구분을 하지 못함) ▲환자를 땅바닥에 앉히거나 반듯하게 눕히되, 물린 부위가 심장보다 높아지지 않게 할 것 ▲물린 자리의 5~10 cm 위를 손수건이나 붕대로 느슨하게 묶고 반창고나 붕대로 살짝 가려서 상처 감염을 막을 것 등이다. 참고로 위의 응급처치는 환자를 문 뱀이 독사가 아니라는 확신이 들어도 가급적 그대로 따르는 게 좋다. 일반인이 독사인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고, 설령 독사가 아니더라도 야생동물의 특성상 파상풍 등 상처가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시창 익산소방서 방호구조팀장 |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  입력 : 2023년 05월 21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오피니언
가장 많이본 뉴스
기획특집
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