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10 04:26:3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사설

벼멸구 창궐 피해, 우리 모두 생존권 문제다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4년 09월 24일
지금쯤이면 농촌지역 곳곳에서 흘러나오던 풍년가는 사라지고, 통곡의 소리만 울려 퍼지고 있다. 풍년이 예상되는 가운데 남아도는 쌀 탓에서 가격 하락으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던 중 벼멸구의 창궐로 논농사가 초토화될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지난 추석 연휴를 전후로 벼멸구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역에 초비상이 걸렸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현재 도내 벼멸구 피해 면적은 2,707ha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체 면적(10만 4,344ha)의 2.6%에 해당한다. 벼멸구 발생은 지난 2011년 이후 13년 만이다.
지역별로는 임실이 1,914ha로 가장 넓고 순창 554ha, 남원 80ha, 정읍 51.2ha 등 순이다. 대부분 내륙·동부권이다.
벼멸구는 매년 6월 중하순부터 장마전선과 태풍 등의 영향으로 유입된다. 벼멸구는 줄기와 이삭을 갉아 먹어 벼를 고사시킨다. 벼 수확량은 감소할 수밖에 없고, 품질 저하는 당연하다. 주로 서해안 지역에 발생한다. 하지만 이번 벼멸구 피해는 이례적으로 내륙·동부권에 집중되어 있다. 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채 수확기를 앞둔 농민들은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다.
도는 예비비 5억 원을 긴급 편성해 약제비 등을 지원하고 벼멸구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제를 하고는 있지만 그 효과를 장담할 수는 없는 분위기다. 그러나 수확을 앞둔 벼에 약제를 뿌리면 약의 잔류로 출하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다. 물론 품종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현재로서는 벼멸구가 더 확산하기 전에 벼의 조기 수확이 답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특히 벼멸구의 창궐은 이례적인 불볕더위 속에 다온다습한 기후 탓이 크다 할 수 있다. 사람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재난·재해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벼멸구 피해의 심각성을 고려한 농업재해로 인정해야 한다. 나아가 피해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이에 걸맞은 보상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의 수매 과정에서 피해 지역 벼를 전량 수매해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더구나 벼멸구 창궐로 농민들의 주름 골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지난 주말 덮친 최고 250mm 이상의 기록적인 폭우로 농민들은 망연자실해 있다.
농경문화는 우리나라를 지탱하는 대들보와 같다. 농업이 흔들리면 농민은 물론 서민들의 살림살이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농업 지원을 농민들만을 위한 특혜로 봐서는 안 된다. 그것은 국가의 건강한 사회구조를 형성하는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벼멸구 창궐에 따른 피해는 불가피하다. 이로 인한 농민들의 한숨의 깊이가 깊어지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 마련은 당연하다. 나아가 같은 상황에서 피해를 줄이는 방안 마련도 뒤따라야 한다.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생존권과 직결되는 문제다. 이를 위한 지혜를 모으고, 힘을 결집할 때다.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4년 09월 24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고창군 슬기로운 ‘지방소멸기금’ 활용사업  
순창군, ‘제2회 섬진강 트레일레이스’ 성황리 개최  
부안 풍요로움 · 즐거움 · 맛 어울린 소통 · 화합 축제  
ESG 전국 최고 성적표 받은 완주, 지속가능 미래 만든다  
“K-컬쳐의 중심 제95회 춘향제 30일 개막, 커밍 순”  
익산시 영등2동, 주민과 함께하는 현장중심 행정 펼치다  
정읍시, 신성장 동력·도시재생 ‘쌍끌이 전략’ 가동  
고창로컬JOB센터 “기업과 사람 잇는 일자리 플랫폼”  
포토뉴스
IWPG 글로벌12국,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 성황리 개최
㈔세계여성평화그룹(IWPG) 글로벌 12국이 주관한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예선이 5월 3일 전북 정읍시 정읍국민체육센터에서 성 
자랑스러운 전북인, 오미숙 사진작가 ‘2025 세계 신지식인’ 선정
전북 출신의 오미숙 사진작가가 ‘2025 세계 신지식인’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 4월 30일 서울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202 
무주군, 6월 6일~8일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 진행
무주군이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 기간(2025. 6. 6. ~8.) 동안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를 개최할 계획으로, 7일부터 참가 신청을  
전주문화재단, 지역작가 본격적인 지원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최락기)이 창작공간 제공 등 동문창작소 1호점 2기 입주작가들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활동 지원에 나섰다. 
‘전주에서 만나는 호주의 모든 것!’ 전주세계문화주간 호주문화주간 개막
대한민국 대표 문화도시인 전주시가 5월 황금연휴를 맞아 호주 문화의 정수로 가득 채워진다.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