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11 01:07:3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한 영혼에 촛불을 켤 용기(1)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4년 09월 25일
“한 촛불이라도 켜는 것이 어둡다고 불평하기보다 낫다(It is better to Light a single candle than to complain of the darkness).”
1960년, 펄 벅 (Pearl Sydenstricker Buck)이 공초空超 오상순吳相淳의 명동 청동다방을 방문했을 때 사인북에 적은 말이다. 우리나라를 대단히 사랑했던 펄 벅이 남긴 이 메시지를 임헌영의 『수필 쉽게 쓰기』 강의에서 처음 들었다. 순간 가슴속에 어떤 심지 하나가 반짝했다.
그 이후 오래전에 읽었던 『대지(The Good Earth)』를 다시 펼쳐보았다. 희미하나마 느낌 조각 여럿이 남았는데 그중 하나는 메뚜기에 대한 기억이었다. 주인공 왕룽의 대지엔 때때로 가뭄, 홍수 등의 재앙이 닥쳤는데 어떨 때는 메뚜기 떼가 창궐하기도 했다.
그것은 “어느 날 남쪽 하늘에 작고도 가벼운 구름으로 나타났다. 처음에는 바람에 나부끼는 구름처럼 이리저리 흐르지도 않고 조그맣게 안개처럼 조용하게 지평선에 걸려있더니 이윽고 부채 모양으로 퍼졌다.”
사람들은 그것이 남쪽에서 들이닥친 메뚜기떼라는 걸 알았다. 그래서 한편은 “자, 우리들의 밭을 위해 하늘에서 오는 적과 싸웁시다!”라며 퇴치에 나섰다. 다른 한쪽은 그것은 천명이니 싸워봤자 헛수고라고 체념했다. 사당에 가서 지신께 빌기도 하고 백방으로 노력해 보았지만 “메뚜기 떼는 하늘 가득히 퍼지면서 지상을 덮었다.” 그것들이 훑고 간 밭은 “겨울 밭처럼 벌거숭이”가 되고 말았다.
메뚜기 떼가 실제 그 정도로 들판을 초토화했다면 얼마나 무섭고 흉흉했을까? 소설에 나타난 풍경을 그려 보다가 내 추억 속 메뚜기를 떠올려 보았다. 가을 들판에 톡톡 튀어 오르던 곤충. 벼잎이나 조금 갉아 먹고 마는 정도로 친근하거나 우호적이어서 해충이라고 여긴 적이 없었다.
‘설마 그 작은 곤충이 들판을 다 먹어 치웠을까? 메뚜기는 절대 인간에게 해를 끼칠 개체가 아니야.’라거나 ‘혹시 작가가 다른 곤충을 메뚜기로 착각했을까? 번역상의 문제였을까? 소설은 허구니까 상상의 곤충 떼를 도입했을까?’ 별의별 억지스러운 추측을 했던 적이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평범한 진리처럼 ‘미국 문학기행』 강의를 통해 그 유아적인 의문이 풀렸다. 작가와 작품에 대한 퍼즐이 하나둘 맞춰졌는데 내가 인지했던 대지는 큰 땅덩어리 ‘『The Great Earth』’였던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을 훨씬 능가하는 ‘『The Good Earth』’라는 걸 알았다. 작품을 완성했을 당시 작가가 정한 제목은 『왕룽』이었다. 펄의 새로운 남편이기도 했던 출판사 대표 월시가 수정할 것을 제안해서 『대지』라는 제목이 탄생했다.
그다음은 미국인이 중국 배경의 소설을 어쩌면 이토록 실감나게 썼을까의 답을 얻었다.
펄은 선교사인 부모와 생후 3개월 때 시장바구니에 담겨 중국에 갔다. 보모이자 가정교사인 왕王 노파에게 양육되면서 자연스럽게 중국 문물과 관습에 친숙해졌고 동양 사상도 익혔다. 1900년 그의 나이 8세 무렵에는 국무장관 존 헤이와 그 주요 부관보다도 중국의 언어, 문학, 풍습에 해박했을 정도였다. 그러면서 가치관도 정립되었을 터였다.
펄은 25세에 존 로싱 벅John Loosing Buck이라는 전도사와 혼인했는데 바로 후회했다. 로싱과 펄의 지적 수준 차를 이유로 부모님이 반대했는데 그 이유를 결혼하자마자 깨달았다. 또 그녀는 순수한 신앙 전도를 꿈꾸었지만, 남편은 복음보다 농민 경제 향상에 더욱 관심을 가졌다. 둘 사이에 첫딸을 낳았는데 아이는 페닐케톤 요증(PKU, phenyl ketonuria)이라는 장애가 있었다.
거기다가 펄 벅은 자궁종양으로 임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26세 때 집 앞에서 폭동을 겪기도 했는데 그 무렵 문학에 대해 꿈꾸었고 31세 때부터 산문을 쓰기 시작했다. 농촌 부흥에 관심이 많던 남편과 5년간 북부 지방을 답사하기도 했다. 그때 작품 구상이 이루어진 셈이었고 마침내 소설로 성공하기에 이르렀다.

/김숙 (전)중등학교교장)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4년 09월 25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고창군 슬기로운 ‘지방소멸기금’ 활용사업  
순창군, ‘제2회 섬진강 트레일레이스’ 성황리 개최  
부안 풍요로움 · 즐거움 · 맛 어울린 소통 · 화합 축제  
ESG 전국 최고 성적표 받은 완주, 지속가능 미래 만든다  
“K-컬쳐의 중심 제95회 춘향제 30일 개막, 커밍 순”  
익산시 영등2동, 주민과 함께하는 현장중심 행정 펼치다  
정읍시, 신성장 동력·도시재생 ‘쌍끌이 전략’ 가동  
고창로컬JOB센터 “기업과 사람 잇는 일자리 플랫폼”  
포토뉴스
IWPG 글로벌12국,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 성황리 개최
㈔세계여성평화그룹(IWPG) 글로벌 12국이 주관한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예선이 5월 3일 전북 정읍시 정읍국민체육센터에서 성 
자랑스러운 전북인, 오미숙 사진작가 ‘2025 세계 신지식인’ 선정
전북 출신의 오미숙 사진작가가 ‘2025 세계 신지식인’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 4월 30일 서울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202 
무주군, 6월 6일~8일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 진행
무주군이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 기간(2025. 6. 6. ~8.) 동안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를 개최할 계획으로, 7일부터 참가 신청을  
전주문화재단, 지역작가 본격적인 지원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최락기)이 창작공간 제공 등 동문창작소 1호점 2기 입주작가들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활동 지원에 나섰다. 
‘전주에서 만나는 호주의 모든 것!’ 전주세계문화주간 호주문화주간 개막
대한민국 대표 문화도시인 전주시가 5월 황금연휴를 맞아 호주 문화의 정수로 가득 채워진다.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