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9 13:02:0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칼럼-장터 국밥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5년 04월 17일

배귀선 
시인

끄무레하다. 하늘이 우중충하면 일기예보처럼 어깨가 결린 다. 그런 날 별다른 일이 없으면 사우나를 간다. 사우나가 뇌졸 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접하였기 때문이기도 하 지만, 따뜻한 탕에 들어가 이런저런 일들을 잠시라도 잊고 싶은 욕구 때문이기도 하다.
 
온탕에서 나와 습식사우나의 매력에 푹 빠져 있을 때였다. 두 명의 남자가 배를 내밀며 들어오고 이어서 한 명이 더 들어왔다. 그들은 내 옆 좌우로 나란히 앉았다. 나는 지그시 눈을 감았다. 그들도 어색한 공간을 메우려는 듯 잦은 헛기침을 해댔다. 모래시계는 소리 없이 시간을 소복하게 쌓고 있었다. 바로 옆 사람 이 슬며시 실눈으로 내 아랫도리를 훑어본다. 한 공간의 서먹함 을 상쇄하려는 듯 발열판 쪽에 앉은 사람이 궂은 날씨 때문에 결린다는 푸념을 늘어놓으며 스트레칭하자 다른 사람도 덩달 아 일어나 두 팔을 허공으로 치켜세운다. 한순간 사우나실은 스 트레칭 공간이 되어버렸다. 내 바로 옆에 앉은 사람은 배가 나오 고 머리가 벗겨진 탓인지 시간이 흐를수록 힘들어하는 것 같았 다. 임신한 여자로 치면 만삭일 것 같은 그는 체구에 걸맞게 먹 성 좋은 말을 흘린다. 나도 그들도 동작을 멈추고 귀를 기울인 다. 그는 입맛을 다시기까지 하며 순댓국밥집 이야기를 사우나 실에 펼쳐놓는다. 친절은 기본이고 내장탕에서 냄새도 안 나고 기가 막히게 맛있다는 정보를 나를 건너 일행에게 알린다. 그들 은 나를 사이에 두고 술잔이 오가듯 질문과 답을 주고받았다. 따라 나온 반찬이야기며 내장 전골은 다 먹고 난 후 밥을 비벼 먹어야 맛있다는 둥 비빔밥으로도 소주 두어 병은 비울 수 있다 는 경험담을 술잔처럼 주거니 받거니 늘어놓는다. 국밥이 나오 기 전 덤으로 나오는 머리 고기로도 소주 한두 병은 먹을 수 있 겠다는 말들이 오가는 걸로 미루어 이 사람들도 나처럼 어지간 히 공짜를 좋아하는 사람인 듯싶다.
 
내가 자주 가는 시장의 국밥집도 그런 곳이어서 이들에게 더 좋은 곳이 있다고 말을 해줄까 망설이다가 그만두었다. 그러니 까 내가 자주 가던 시장의 국밥집 주인도 반찬이 부족한 듯 보 이면 알아서 친절하게 내오곤 했다. 그런저런 이유로 자주 찾았 었는데, 한두 달 전 다른 사람이 주인이 되어 있었다. 예전에 국 밥집을 운영한 사십 대 남짓한 부부의 손맛과 친절이 그리웠다. 주인이 바뀐 그날 이후로 한동안 국밥집을 찾지 않았다. 그러 던 차에 사우나실에서 새로운 정보를 들은 것이다. 나는 초면이 지만 머리가 벗겨지고 배가 나온 남자에게 그곳 위치를 물었다. 신이 나 있는 그는 성모병원 앞이라며 가는 길까지 친절하게 알 려주었다.
 
입맛을 다시던 그가 남산만 한 배를 일으켜 세우더니 지금이 술시이니 그만 샤워를 하고 그 순댓국밥집에 가자는 말을 한다. 나 역시 뜨끈한 국밥과 막걸리가 떠올랐다. 갑자기 사우나실에 국밥 냄새가 진동하는 것 같았다. 순댓국이나 돼지국밥은 시장 골목에서 먹는 게 제격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왠지 저 들이 말하는 국밥집을 한 번 가보고도 싶어졌다. 모래시계는 멈 추어 있었다. 은근히 동지를 만난 것 같은 친밀감에 경계가 느 슨해질 즈음 그들은 나 혼자만을 남겨두고 우허니 사우나실을 나간다.

내가 순댓국을 좋아하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누구와 함께하든 편하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이기도 하지만 주머니가 가 벼운 나로서는 제격이기 때문이다. 한 병에 삼천 원 하는 막걸리 한 병을 주문하면 머리 고기와 국물은 덤으로 놓아주니 이곳을 찾지 않을 수 없다. 더불어 국밥 한 그릇이면 끼니와 술안주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니 나에게는 꿩 먹고 알 먹는 셈이다.
 
뚝배기 속에 빡빡하게 들어있는 머리 고기와 막창, 암뽕, 순 대 등으로 두어 병의 막걸리를 마시고, 나머지 국물에 밥 한 그 릇 말아먹으면 세상 부러울 게 없다. 말하자면 나에게 있어 국 밥 한 그릇은 어제나 오늘이나 따뜻함이 담겨 있는 음식이고 곁 들인 막걸리는 가시 돋친 세상을 무딘 눈으로 보게 하는 명약 같은 것이다.

나도 서둘러 샤워하고 목욕탕을 빠져나왔다. 골목에는 드문 드문 비가 내리고 있었다. 내 걸음은 자연스럽게 그들이 말한 곳으로 옮겨지고 있었다. 성모병원 앞에 ‘장터 국밥집’이라는 조 그만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장터와는 무관한 곳인데 ‘장터’라 니. 지나치려다 허실 삼아 문틈으로 슬며시 들여다보았다. 소문 대로 대여섯 평 남짓 공간에 사람들이 가득 차 있었다. 주방 쪽을 바라보았다. 낯익은 얼굴이었다. 시장에서 장사하던 그 부부 였다. 반가움에 밀치고 들어가려다가 멈칫 돌아섰다.
 
점심시간을 넘겨 한가한 시간에 다시 찾았다. 반갑게 맞는 내 외의 안내를 받으며 자리에 앉았다. 이어 나온 국밥의 국물 한 숟가락을 입안에 머금었다. 시장 골목에서 먹었던 맛 그대로였 다. 국밥에 들깻가루를 넣듯 그간의 이야기를 고소하게 말아먹 으며 막걸리 두 병을 비웠다.
 
‘장터’ 하고 가만 읊조려보면 규격화된 것에서 벗어난 자유로 움 같은 것이 느껴지고 정겨움 또한 물밀어 오는 것 같다. 그러 나 젊은 부부의 국밥집은 장터에서 동떨어져 있다. 그런데도 그 느낌이 나는 것은 사람 냄새 때문이지 싶다. 정이 밴 냄새. 부안 에는 장터 아닌 곳에 인심이 묻어나는 장터 하나가 더 있는 셈이 다. 생의 고단함을 후후 불며 뜨거운 국물을 떠먹는 ‘장터국밥’ 이 그곳이다. 생의 냄새가 첩첩으로 밴 시장 골목은 아니지만 푸 짐하게 내놓는 인심은 여지없는 장터 골목이다.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5년 04월 17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고창군 슬기로운 ‘지방소멸기금’ 활용사업  
순창군, ‘제2회 섬진강 트레일레이스’ 성황리 개최  
부안 풍요로움 · 즐거움 · 맛 어울린 소통 · 화합 축제  
ESG 전국 최고 성적표 받은 완주, 지속가능 미래 만든다  
“K-컬쳐의 중심 제95회 춘향제 30일 개막, 커밍 순”  
익산시 영등2동, 주민과 함께하는 현장중심 행정 펼치다  
정읍시, 신성장 동력·도시재생 ‘쌍끌이 전략’ 가동  
고창로컬JOB센터 “기업과 사람 잇는 일자리 플랫폼”  
포토뉴스
IWPG 글로벌12국,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 성황리 개최
㈔세계여성평화그룹(IWPG) 글로벌 12국이 주관한 제7회 '평화사랑 그림그리기 국제대회'예선이 5월 3일 전북 정읍시 정읍국민체육센터에서 성 
자랑스러운 전북인, 오미숙 사진작가 ‘2025 세계 신지식인’ 선정
전북 출신의 오미숙 사진작가가 ‘2025 세계 신지식인’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 4월 30일 서울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202 
무주군, 6월 6일~8일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 진행
무주군이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 기간(2025. 6. 6. ~8.) 동안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를 개최할 계획으로, 7일부터 참가 신청을  
전주문화재단, 지역작가 본격적인 지원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최락기)이 창작공간 제공 등 동문창작소 1호점 2기 입주작가들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활동 지원에 나섰다. 
‘전주에서 만나는 호주의 모든 것!’ 전주세계문화주간 호주문화주간 개막
대한민국 대표 문화도시인 전주시가 5월 황금연휴를 맞아 호주 문화의 정수로 가득 채워진다.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