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9 14:33:3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진동으로 설명되는 현상들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2월 20일
긍정적 진동(Positive Vibration)이라는 어찌보면 철학적인 이 표현은 1970년대에 아 프리카풍의 자메이카 음악인 레게(Regge) 곡명에서 왔다. 그 이전 60년대 비치보이즈의 히트곡명 중에도 좋은 진동(Good Vibrations)이 있♘다. 음악도 삶도 그 근본은 진동이다.
그리스의 수학자이며 철학자인 피타고라스는 일찍이 악기가 만드는 음악을 넘어서, 천체든 소립자든 모든 우주현상이 진동으로 소리를 내며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했 다. 피타고라스가 말한 천체의 진동은 자전과 공전을 말한 것임에 틀림없다. 밤낮의 순환 도 계절의 순환도 우주의 진동에 의한 것이다. 우주를 질서라는 의미인 코스모스라고 이 름지은 것도, 철학을 지혜에 대한 사랑(philosophy)이라 칭한 것도 피타고라스였다.
물리학에서는 최근에 와서야 우주현상의 근원을 진동으로 보게 되♘다. 양자역학보다 한 발 더 나간 현이론(string theory)은 소립자도 중력도 일차원적인 끈의 진동상태로 설 명하려고 한다.
경제학에서는 거시적 현상을 이해할 때 경기가 주기적으로 오르락 내리락하는 순환 변동 모델의 틀에서 분석한다. 진동현상은 수학적으로는 보통 사인(sine)곡선으로 표현된 다. 그런데 거시경제에서 보이는 순환곡선은 음악에서 현이 진동하고 공기가 진동하는 것처럼 규칙적이지는 않다.
미시경제에서도 사인곡선을 너무 믿으면 안 된다. 주식투자의 고수들도 주가변동 그 래프를 올려 놓고 이제 고점이 가까워졌으니 곧 내려갈 거라고 얘기하지만, 그 말 듣고 판 사람이 후회할 확률이 반은 된다. 물론 많은 사람이 그 고수의 말을 믿고 그 주식을 팔면 실제로 떨어질 수 있다. 고수는 이런 걸 내다보고 미리 팔았을 지도 모른다. 그렇다 고 주식고수들의 분석을 아예 공개하지 말라고 강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최근 정부가 한시적으로 도입한 공매도 금지도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테면 거품이 많은 주가가 공매도 등을 통해 미리 조정될 수 있♘ 는데 거품이 계속된 탓에 급격한 폭락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다. 시장은 불완전하지만 이를 규제하는 게 더 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시장의 순환변동은 시장참여자들이 한 쪽으로 몰리는 군집행동(herd behavior)에 의 해서 일어나기도 하지만, 그런 게 없더라도 수요와 공급이 임의적으로 그리고 복잡하게 작용하는 시스템의 내재적인 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더 많다. 슈퍼컴퓨터를 활용 하면서 일기예보가 매우 정확해졌는데, 경제에서 그런 예측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주가나 경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큰 소리치는 사람들은 거의 다 실패한다. 물론 이리 굴러도 저리 굴러도 운이 아주 좋은 사람들은 있다. 인공지능이 발전되어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에 따른 예측과 의사결정이 맞을 때도 많지만, 거기에 고무되어 크게 한탕하려 다가 몽땅 털리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경제학에서 투자이론을 공부하다 보면 그 근본적인 가정이 투자자들이 위험회피적이 라고 한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도박을 한다. 경제학 에서는 위험을 감수하는 게 이윤의 근원이라고 하는데, 현실세계에서는 도박이 패가망신 의 원인이다.
시장에는 들쑥날쑥한 변화가 많지만 큰 흐름을 보면 순환곡선이 보인다. 경제도 우주 현상의 근원인 진동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BTS 태양은 솔로곡인 바이브(Vibe)에서 이렇게 노래하고 있다. “Look at the stars. 밝게 빛나는 달 all through the night 우릴 비춰주고 있잖아. 날 보는 너의 눈빛과 진동 을 계속 느끼고 싶어”

/채수찬
경제학자/카이스트 교수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2월 20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전북, 대한민국 제조AI 혁신의 심장으로”  
민선8기 3주년 전춘성 진안군수, “지속가능 생태치유도시 실현,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 본  
시민과 함께 일군 빛나는 3년, 정읍의 담대한 변화 이끌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군-정치권 노력끝에 노을대교 2030년 개통 청신  
지해춘 군산시의원의 생활밀착 의정 “발로 뛰어야 도시가 보인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포토뉴스
전주시립교향악단, 젊은 음악 인재들과 협연 무대 마련
전주시립교향악단이 미래 음악계를 이끌어갈 청소년 연주자들과 함께 특별한 무대를 선보인다.전주시립교향악단은 오는 24일 오후 7시 30분, 한국 
임실 아쿠아 페스티벌, 초대형 돔·에어컨 쉼터‘첫선’
임실군이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아쿠아 페스티벌을 앞두고, 올해부터는 햇빛을 차단하는 초대형 돔과 에어컨이 완비된 휴게 쉼터를 새롭게 설치,  
˝세계 속 익산 백제를 만나다˝…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익산시가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을 맞아 백제유산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한다. 익산시는 올해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0주년 
독자와 함께 진화하는 언론 전라매일신문
전라매일이 언론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보다 심화시키기 위한 독자 참여 구조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지난 14일, 전라매일 본사에서 열린 제 
“글씨의 정원에서 서예의 새 매력 만나다”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이 여름방학을 앞둔 지난 6월 27일, 관람객이 서예를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새롭게 단장한 ‘서예문화실’을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