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9 09:09: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과연 석유 가스가 나올까?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6월 16일
포항 영일만에 석유 가스가 나온다는 정부의 발표는 이미 박정희정권 때부터 시작했다. 전 국민이 열광하는 가운데 나라 전체가 들썩일 만큼 가장 기쁜 뉴스였다. 그 때도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석유 시추를 발표했으며 모든 국민들이 믿어 의심치 않았다. 왜냐하면 그 때까지만 해도 국민소득은 세계에서 하위를 맴돌 때였고 북한과의 경제 전쟁이 치열했기 때문이다. 그런 참에 한꺼번에 부를 가져다 줄 석유생산은 간절히 바라던 일이었다. 중동의 빈곤을 뒤집어 준 석유는 그들의 국가 경쟁력을 단번에 치켜 올렸고 지금도 산유국의 지위는 공고하다. 우리나라는 지하자원 부족국가로 알려져 있다. 그나마 남북이 갈라져 지하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북한을 뺀 한국은 자원 부족국가로 자타가 공인한다. 그나마 한국은 정부의 오랜 노력과 지원에 힘입어 현재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으며 자원이 많은 북한은 독재자의 배만 불리며 인민들은 세계최빈국으로 전락한 신세다.
고난의 행군으로 수백만 명이 굶어 죽었다는 북한의 실태는 탈북자들의 증언으로 적나라하게 폭로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석유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대통령의 발표는 오랜만에 들어보는 빅뉴스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과거 박정희 시절의 산유국의 꿈이 산산조각이 났던 쓰라림을 잘 알고 있다. 이번에 도 또 다시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국민의 실망은 너무나 클 것이다. 그러나 이번 발표를 계기로 남미 가이아나의 석유생산이 다시 한 번 반추되었다. 가이아나의 석유 시추는 1916년에 시작하여 무려 99년이 지난 2015년에야 110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된 유전을 발견했다. 지금은 하루 65만 배럴을 퍼내고 있다. 이 유전은 미국의 석유회사 엑슨 모빌이 발견하기 까지 7년이 걸렸다. 100년의 긴 세월이 흘러가는 동안 많은 석유회사들이 뛰어들었다가 포기했을 것이다. 끝내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은 엑슨 모빌이 최후의 승자가 된 것이다. 이번에 영일만 석유 가능성을 발표한 미국의 엑트지오 소유자이자 고문인 아브레우 박사는 가이아나 유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가이아나와 한국 영일만의 지질학적 특성이 유사하다고 말한다. 더구나 가이아나 유전은 해안에서 190km의 거리에 있으며 수심도 1500m~1900m이지만 영일만은 해안거리가 38~100km로 더 유력한 편이다. 석유 매장량도 가이아나는 110억 배럴이지만 영일만은 140억 배럴로 추정되고 있다. 그동안 영일만 유전 개발은 호주의 최대 석유사인 우드사이드가 15년 탐사 끝에 “유망하다고 볼 수 없는 지역”이라고 단언하고 작년에 철수한 바 있다. 유망한 석유회사의 철수는 영일만의 희망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지만 우드사이드가 호주의 자원개발기업인 BHP사와 합병하는 경영구조의 변경이 어떤 영향력을 끼치지 않았을까 하는 견해도 있다. 아무튼 이러한 현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이를 발표한 것은 주무 장관에게 맡기는 것이 좋았지 않았겠느냐 하는 견해도 나온다.
제일 야당인 민주당 이재명 대표 역시 석유 가능성을 부인하는 논평을 하는 것은 책임 있는 정치인으로서의 도리가 아니지 않느냐 하는 비판이 있다. 전 국민이 환호하는 산유국 가능성은 아직은 미지수다. 그렇다고 해서 야당대표가 곧바로 어깃장을 놓는 것은 너무 속 좁은 행위다. 석유는 상당한 시일이 흘러가야 유무가 가려질 것이다. 가이아나 석유 100년은 끈질긴 투쟁이다. 수많은 산유국들도 모두 오랜 세월을 기다리다가 만세를 불렀다. 우리도 결코 내일 아니면 안 나온다는 식으로 이 거대한 사업을 좁게 보는 시각을 가져선 안 될 것이다. 그리고 희망을 걸어야 한다. 나라의 흥망성쇠는 멀고 길게 봐야만 한다. 산유국의 그 날을 기다려보자.

/전대열 大記者
전북대 초빙교수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6월 16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전북, 대한민국 제조AI 혁신의 심장으로”  
민선8기 3주년 전춘성 진안군수, “지속가능 생태치유도시 실현,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 본  
시민과 함께 일군 빛나는 3년, 정읍의 담대한 변화 이끌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군-정치권 노력끝에 노을대교 2030년 개통 청신  
지해춘 군산시의원의 생활밀착 의정 “발로 뛰어야 도시가 보인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포토뉴스
전주시립교향악단, 젊은 음악 인재들과 협연 무대 마련
전주시립교향악단이 미래 음악계를 이끌어갈 청소년 연주자들과 함께 특별한 무대를 선보인다.전주시립교향악단은 오는 24일 오후 7시 30분, 한국 
임실 아쿠아 페스티벌, 초대형 돔·에어컨 쉼터‘첫선’
임실군이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아쿠아 페스티벌을 앞두고, 올해부터는 햇빛을 차단하는 초대형 돔과 에어컨이 완비된 휴게 쉼터를 새롭게 설치,  
˝세계 속 익산 백제를 만나다˝…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익산시가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을 맞아 백제유산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한다. 익산시는 올해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0주년 
독자와 함께 진화하는 언론 전라매일신문
전라매일이 언론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보다 심화시키기 위한 독자 참여 구조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지난 14일, 전라매일 본사에서 열린 제 
“글씨의 정원에서 서예의 새 매력 만나다”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이 여름방학을 앞둔 지난 6월 27일, 관람객이 서예를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새롭게 단장한 ‘서예문화실’을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