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전북교육청 맞춤형 지원 `총력`
사교육 의존·공강 시간 운영 등 5대 현안 해결 나서 진로설계 상담부터 출결 시스템 개선까지 현장 중심 대책 강화
조경환 기자 / 입력 : 2025년 04월 24일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이 안착할 수 있도록 전라북도교육청이 다각적인 지원책을 내놓았다.
24일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학업 설계 체계를 강화하고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고교학점제의 전면 시행 이후 예상된 교육 현장의 혼란을 선제적으로 해소하려는 취지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다.
올해부터 전국 고등학교에 전면 도입되면서 △사교육 컨설팅 의존 증가 △출결 처리의 복잡화 △공강 시간 운영의 어려움 △최소 성취 수준 지도 부담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과중 등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돼 왔다.
전북교육청은 이들 5대 현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법을 마련, 학교 현장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덜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사교육 컨설팅 증가 문제에 대응해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상담을 운영한다. ‘진로학업 설계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교사의 지도 역량을 높이고, 학생들에게는 진로·학업 설계서를 이미 배포한 상태다.
교사용 지도서와 영상 자료는 오는 5월 추가 제공될 예정이다.
출결 처리의 복잡함은 나이스(NICE) 시스템 개선을 통해 해결 중이다. 교과교사와 담임교사가 실시간으로 출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했으며, 교시별 과목 정보 확인, 비고란 입력 기능 등도 강화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3차 기능 개선 역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추진 중이다.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의 경우, 미이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 및 보충 지도 체계를 구축했다.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EBS 콘텐츠 활용, 개별 과제 제시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안내하고 있으며, 교사를 위한 연수도 병행하고 있다.
공강 시간 운영 지원을 위해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을 펼쳐 도내 113개교에 자율 학습 및 진로 설계 공간을 마련했으며, 지난 3월 ‘2025학년도 기재요령’ 설명회를 개최했다. 여기에 ‘찾아가는 맞춤형 컨설팅’도 운영으로 학교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전북교육청 최은이 중등교육과장은 “고교학점제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학생 맞춤형 컨설팅과 교원 역량 강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조경환 기자 /  입력 : 2025년 04월 24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오피니언
가장 많이본 뉴스
KACA 제23기 제3강, 발달장애 청소년의 선율, 전주에 울리다
|
전주와이즈멘 한마음클럽, 어르신 위한 따뜻한 나눔 실천
|
전북도의회, 지역 미래 열어갈 의정활동 활발
|
이춘석 의원, 인구감소지역 재정지원 특례 법안 발의
|
전주문화재단, 미래 이끌 8인의 신진 예술가 선정
|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전북교육청 맞춤형 지원 `총력`
|
전북대,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 추진 컨소시엄 구성
|
군산 유치원 교사들, 디지털 교육환경 대응 역량 키운다
|
임실군에 이어지는 출향인의 고향 사랑
|
부처님 오신날, 범죄예방 활동에 총력
|
기획특집
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