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1 07:35:4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칼럼 - 이재명과 함께 하는 희망 만들기 하루속히 K-콘텐츠를 K-인공지능(AI)TV 플랫폼에 실어 보내길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10일
최공섭 프리랜서 PD

‘K-컬처, 한류라고 부르지 않나. 여기에 더해 이제 ‘K-민주주의’, 두 번에 걸친 촛불혁명과 빛의 혁명을 통해 무혈의 평화혁명으로 현실 권력을 끌어내리는 세계사에 없는 일들이 K-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이뤄졌지 않았는가? 대한민국이 세계를 선도하는 여러 영역들이 있다. 우리가 비록 규모는 작지만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있겠단 생각이 든다. 그런 K-이니셔티브 나라를 꼭 만들어보고 싶다’고 이재명 새 대통령이 말했다.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K-컬처의 문화강국 새로운 기회들이 우리 앞에 다가서고 있다.
대표적인 삼성전자가 2025년형 TV 신제품을 대거 출시하며 ‘진정한 인공지능(AI) TV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AI TV를 처음 공개하며 TV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한 삼성전자는 ‘비전 AI’를 바탕으로 진정한 AI TV라는 새로운 TV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비전 AI’는 사용자의 옆에서 일상을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일상의 동반자로서 TV의 역할을 확장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또 실제 프리미엄 TV 시장을 주도하는 OLED TV 부문에서 세계 시장 1위인 LG전자는 점유율 52.1%를 확보했고,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는 점유율 30.8%로 2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두 업체 합산 시장 점유율이 82.9%에 이른 점을 감안하면 세계 최고의 선명한 화질의 OLED TV는 한국기업이 독주체제를 갖추고 있는 셈이다.
미국 기업 넷플릭스가 이미 국내 OTT 시장 점유율 38%로 국내 OTT 서비스 중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이 제공하는 중요한 콘텐츠가 바로 한국의 막강한 드라마 콘텐츠가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갑게도 미국의 OTT 플랫폼 기업에 종속되어 가는 염려를 낳고 있다. CJ ENM에서 제작한 콘텐츠와 K-POP 콘텐츠에 강점을 보이는 ‘티빙’이 국내 OTT 시장 점유율 2위이고 바로 3위는 KT가 KBS, MBC의 주요 콘텐츠를 유통하는 ‘웨이브’로 이런 국내 토종 업체인 티빙과 웨이브의 사용자 수를 합산하면 1000만 명에 근접할 수 있어 국내 OTT 1위 자리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미국의 넷플릭스 독주체제를 위협할 대항마로 올라설 수 있다.
그리고 삼성전자와 혈연적 기업인 CJ ENM은 드라마, 오락, 음악,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14개 방송 채널을 보유한 국내 최대의 콘텐츠 사업자이다. 또한 스튜디오 드래곤 등과 같은 자체 콘텐츠 제작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 채널뿐만 아니라 지상파, 종편 채널에도 드라마와 예능을 공급하고 봉준호의 ‘기생충’이 보여준 것 같이 국내외 영화의 기획·제작·투자·배급·유통까지 한국 영화 산업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엔터테인먼트 업체로 성장해 있다. 케이블 채널인 엠넷, tvN을 통해 음악 방송,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 등은 K-pop 음악을 중심으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KCON, MAMA AWARDS 등 대형 K-컨벤션 사업들은 오랫동안 CJ ENM에서 공들이는 사업으로 전 세계적 인기와 흥행 성과를 내고 있다.
바로 프리미엄 TV 시장을 주도하는 삼성전자와 세계 시장 1위 LG전자와 토종 OTT 업체인 티빙과 웨이브, 종합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CJ ENM이 연합한 새로운 K-이니셔티브 기업을 통합해 낼 수 있다면 압도적 세계 1위의 프리미엄 TV 시장과 세계 OTT 시장을 석권할 새로운 인공지능(AI) 플랫폼 TV 시대를 열 수 있다. 여기어 CJ ENM의 계열사 안에는 ‘올리브 영’이란 K뷰티 업체, ‘비비고’라는 K푸드, 국내 유수의 라면등 식품업체까지 연합한다면 실제적으로 가장 강력한 K-문화강국 플랫폼 기업으로 우뚝 설 수 있다.
세상 사람 누구나 어디서든지 세계 최고 선명한 화질을 자랑하는 OLED TV를 켜면 한국 드라마, 오락, 음악,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K-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진정한 인공지능(AI) TV 플랫폼 시대가 될 수 있다. 작년 2024년 지금까지 미국과 영국이 선도하던 Pop 시장에서 전세계 베스트 앨법 순위 10을 발표했을 때 1위인 미국 테일러 스위프트를 빼고 나면 2위부터 10위까지를 K-Pop 아이돌 그룹인 세븐틴, 스트레이 키즈등 새로운 K-Pop 아이돌 그룹들이 차지한 오늘, 또 넷플릭스나 전 세계 OTT 기업들이 앞다투어 K-콘텐츠를 확보 경쟁이 뜨겁다. 하루속히 이 놀라운 K-콘텐츠를 외국 OTT 기업 대신 K-인공지능(AI) TV 플랫폼 시대에 실어 보낼 날을 만들어 내야 한다. 바로 이재명 정부와 함께 국내의 삼성전자나 세계 시장 1위 LG전자등 TV영상 기업과 콘텐츠 업체, 엔터 기업이 통합 운영할 수 있는 K-인공지능(AI) TV 플랫폼을 만들어 내야 한다.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10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지해춘 군산시의원의 생활밀착 의정 “발로 뛰어야 도시가 보인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전북 대표 국립전주박물관, 새로운 35년을 열다  
“국정 혼란 속 도민 안정 · 민생 회복 의정활동 총력”  
임실교육지원청, 작지만 강한 교육혁신 중심으로  
포토뉴스
전주 인사동카페 물들인 기타 선율
전주 인사동카페의 여름밤이 기타 선율로 물들었다. 
전주문화재단, 한복문화 확산 거점으로 ‘우뚝’
전통문화도시 전주가 한복문화의 중심지로서 입지를 다시 한 번 굳혔다.전주시와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최락기)이 운영하는 ‘전주한복문화창작소 
전주문화재단, ‘AI 국악 크로스오버 작곡 공모전’ 개최
전주문화재단이 전통 국악과 인공지능 작곡 기술의 융합을 시도하는 두 번째 ‘AI 국악 크로스오버 작곡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 주제는 **‘ 
전북도립국악원, 베를린 국립오페라극장 무대에 선다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이 한국 예술단체로는 처음으로 독일 베를린 슈타츠오퍼 국립오페라극장에 진출한다. 오는 7월 27일 국악원의 대표 창 
순창군,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 참가자 모집… 8월 29일까지 접수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가 오는 9월 27일 토요일 순창군 강천산 군립공원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가요제는 순창군이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