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헌재 증언 내란 진실 은폐 시도인가?
조태용, 윤 대통령 지시 부인… 증거 조작 주장으로 물타기 여당, ‘회유 의혹’ 주장하며 국정조사 방해… 핵심 증인 채택 거부
송효철 기자 / 입력 : 2025년 02월 13일
13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를 부정하고 나섰다.
명백한 증거와 핵심 증인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조 원장은 ‘메모 신뢰성’을 문제 삼으며 진실을 호도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남긴 체포조 명단 메모에 대해 “신뢰성이 의심된다”며 증거 조작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메모를 국정원장 공관 앞에서 작성했다고 했지만, CCTV 확인 결과 사무실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홍 전 차장의 증언에 따르면, 메모는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 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직접 받은 체포조 명단을 옮겨 적은 것이다.
조 원장의 주장과 달리 메모의 존재와 작성 경위는 명확한 상황이다.
특히, 조 원장은 해당 메모가 4개의 버전이 존재한다며 홍 전 차장의 신빙성을 문제 삼았지만, 이는 오히려 체포 조치가 계획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정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국회 내란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서는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의 증인 채택을 둘러싸고 여야 간의 갈등이 발생했다.
국민의힘은 김 단장의 증인 채택을 주장하며, 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회유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박범계·부승찬·김병주 민주당 의원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회유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김현태 단장의 진술이 전혀 바뀐 것이 없다는 점에서 근거 없는 음모론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병주 의원은 “회유를 했다면 김 단장의 진술이 바뀌었어야 하는데, 계엄 직후 기자회견과 청문회 발언이 다르지 않다”며 국민의힘의 주장을 일축했다.
또한, 부승찬 의원은 ‘면책특권을 악용한 허위 주장’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결국, 국민의힘 의원들은 김현태 단장의 증인 채택이 불발되자 집단 퇴장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를 두고 정치권과 탄핵을 찬성하는 측에서는 여당이 국정조사를 방해하고, 내란 사건의 본질을 흐리려는 의도라는 비판이 거세다./송효철 기자 |
송효철 기자 /  입력 : 2025년 02월 13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오피니언
가장 많이본 뉴스
기획특집
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