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자연 감소, 전북만의 유입책 마련 서둘러야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 입력 : 2024년 09월 29일
전국 출생아 수가 전년도 같은 달보다 1,516명이 늘었다. 지난 2012년 1,959명 증가한 이후 12년 만의 최대치다. 지난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2만601명으로 전년도 같은 달보다 7.9%에 해당하는 1,516명이 증가했다. 증가율을 보면 지난 2007년 12.4% 증가한 이후 가장 높다. 혼인율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7월 혼인 건수는 1만8,811건으로 전년도 같은 달보다 4,658건(32.9%)이나 증가했다. 지난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7월 기준으로 가장 큰 증가율이다. 전체적으로도 지난 1996년 1월 50.6% 증가한 이후 가장 높다. 이 같은 증가율은 코로나19로 지연됐던 결혼이 2022년 8월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몰리면서 출생아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전북은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같은 기간 전북지역 출생아 수는 547명으로, 전년도 같은 달 580명보다 33명(5.6%)이 감소했다. 서울과 부산 등 14개 시도는 증가했으나, 전북과 제주는 감소했다. 강원은 전년과 유사하다. 전북의 인구감소에 대한 해법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찾아야 한다. 출생아 수는 회복되지 않고 청년들 역시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떠난다. 출생아 수와 인구유출에 따른 인구감소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전북의 최대 도시인 전주 역시 젊은 층의 인구 비중이 줄고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다. 지역소멸이 가속화되면서 국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다고 인구감소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이 어렵다. 중장기적인 대책을 준비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전북은 이미 175만 명의 인구마저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말이다. 인구의 자연증가를 위한 정책은 중요하다. 이에 못지않게 인구의 유출을 막고, 유입을 늘리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간 인구 증가의 대안으로 기업유치에 공을 들여왔지만 기업 이전과 고용창출로 이어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만큼, 이와 병행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전북만이 잘하는, 전북만이 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그나마 현재로서는 귀농귀촌과 농촌유학을 꼽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22년 하반기 27명으로 시작한 전북지역 농촌유학생은 지난해 84명, 올해 133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생뿐 아니라, 가족들도 지역으로 내려오는 사례가 많다.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기업 유치보다 빠른 효과다, 진안 조림초등학교의 경우 전교생 46명 중 31명이 다른 도시에서 유학 온 학생이다. 학교생활과 농촌살이에 만족해 매년 100% 농촌 유학을 연장하고 있으며, 아예 정착한 가정도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는 농촌유학이 귀농귀촌으로 연결되는 사례다. 나아가 전북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전북에서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하기란 한계가 있다. 다만, 전북만의 강점을 살려서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서 충족될 수 없는 부분을 전북살이에서 채워낼 수 있는 수요자 맞춤식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문화·예술, 농·산·어촌 생활 등을 중심으로 체험을 비롯한 교육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현재 제조업 등을 제외하고 지역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최첨단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웬만해서는 인터넷 등을 통해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 많은 세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 jlmi1400@hanmail.net  입력 : 2024년 09월 29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오피니언
가장 많이본 뉴스
기획특집
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