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9 15:59:0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주불가노이흥사 장불가온이치전

군주와 장수는
일시적 감정으로
군대를 동원하면
안 된다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입력 : 2019년 12월 05일
ⓒ e-전라매일
주불가노이흥사(主不可怒而興師) 장불가온이치전(將不可?而致戰).
군주와 장수는 일시적 감정으로 군대를 동원하면 안 된다.
“싸워서 이기고 쳐서 빼앗더라도 그 결과를 닦아 다스리지 않는 것은 흉(凶)한 것이다. 그런 것을 이름 하여 비류(費留)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명한 군주는 결과를 생각하고, 능력 있고 좋은 장수는 결과를 닦아 다스린다.”
국가에 유리한 것이 아니면 전쟁을 일으키지 말아야 하고, 국가에 얻는 것이 없으면 군대를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국가가 위급한 경우가 아니면 응전하지 말아야 한다. 군주는 한때의 분노 때문에 전쟁을 일으켜서는 안 되며, 장수는 성난다고 해서 전투를 벌여서는 안 된다. 국가의 이익에 합치하면 움직이고, 국가의 이익에 합치하지 아니하면 그쳐야 한다.
손자는 전투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장한다. 그래서 ‘손자병법’ 첫머리에서, “전쟁은 나라의 중대한 일이다. 국민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달려 있다. 그러니 신중해야 한다”고 했던 것이다. 군주는 순간적인 분노 때문에 군사를 일으켜서는 안 되고, 장수는 순간적인 울분으로 적과 싸워서는 안 된다. 손자는 또 “국가에 유리한 것이 아니면 전쟁을 일으키지 말아야 하고, 국가에 얻는 것이 없으면 군대를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국가가 위급한 경우가 아니면 응전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과, “국가의 이익에 합치하면 움직이고, 국가의 이익에 합치하지 아니하면 그쳐야 한다”는 사상을 제기 한다. 그러면서 “화나 노여움은 기쁨이나 즐거움으로 변할 수 있지만, 한번 멸망한 국가는 다시 존재할 수 없으며, 죽은 자는 다시 살아 날 수 없다”고 경고한다. 역사상 일시적인 분노나 개인적인 원한 따위로 인해 군대를 일으키고 전쟁을 벌였다가 국가를 위기로 몰고간 예가 적지 않다.
‘사기’ ‘진세가(晉世家)?제9’에 이런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진나라 문왕이 송나라를 구하기 위해 선진(先軫)이 제안한 “조(曺)의 군주 조위(曺衛)를 잡아 그의 땅을 송에게 주자”는 책략을 채택했다. 그러자 초나라 장수 자옥(子玉)은 완춘(宛春)을 진에 보내 “위후(衛侯)를 다시 조(曺)에 봉하면 우리도 송의 포위을 풀겠다”고 전했다. 선진은 다시 “문공께서는 개인적으로 몰래 조위에게 다시 봉하겠노라 약속하고, 완춘을 붙잡아둠으로써 초나라의 화를 돋우십시오.”라고 계책을 권했다. 문공은 선진의 말에 따라 완춘을 위에다 감금했다. 그러고는 조위에게 은밀한 제안으로 유혹함으로써 조위를 초나라와 절교하게 만들었다. 자옥은 화가 나 즉시 진으로 군대를 출동시켰다. 진나라 군사는 후퇴했고, 초나라 군도 물려나려 했으나 자옥의 고집 때문에 추격하다가 성복(성복(城?은)에서 싸워 대패했다. 자옥은 잔병을 수습하여 퇴각했다.
‘자치통감’ ‘위기(魏紀)’에는 이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221년 6월, 유비는 관우를 살해한 원한을 갚기 위해 손권을 치고자 했다. 조운(趙雲.-조자룡)은 유비에게 이렇게 충고했다.
“나라를 빼앗은 자는 조조이지 손권이 아닙니다. 그러니 조조의 위(魏)를 먼저 쳐서 멸망시키면 손권은 저절로 굴복하고 투항해올 것입니다. 큰 적인 위나라를 한쪽으로 젖혀놓고 오나라와 먼저 싸움을 벌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전쟁이란 일단 시작되면 빨리 끝나지 않습니다. 오나라를 치는 것은 결코 상책이 아닙니다.”
조운과 비슷한 논지로 유비에게 충고한 신하들이 많았지만 유비는 일체 듣지 않고 222년에 대군을 출동시켜 오나라를 향해 진격했다. 그 결과 육손(陸遜)의 화공(火攻)에 말려들어 대부분의 병력을 잃어버렸다. 그 후로 촉나라는 더 이상 위세를 떨치지 못했다.
이와 반대되는 예가 사마의(司馬懿)의 경우다. 사마의는 제갈량에게 참을 수 없는 치욕을 당하고도 섣불리 싸움에 나서지 않음으로써 끝내 촉군을 대파했다.
이 대조적인 사실들은 군주와 장수 모두가 국가 안위를 생각해서 ‘군주는 한때의 분노 때문에 전쟁을 일으켜서는 안 되며, 장수는 성난다고 해서 전투를 벌여서는 안 된다’는 지적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지휘자는 분노와 개인의 화를 억제하고 대국을 돌아보는 자세를 중시해야 한다.

이정랑 언론인
前 조선일보 기자
(서울일보 수석논설위원)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입력 : 2019년 12월 05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2025년 민선 8기 고창군정 성과> 심덕섭호 3년,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 열었다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전주의 결의, 만주의 승전” 봉오동 전투 105주년 전북서 되살아난 항일의 불꽃  
전북 대표 국립전주박물관, 새로운 35년을 열다  
“국정 혼란 속 도민 안정 · 민생 회복 의정활동 총력”  
임실교육지원청, 작지만 강한 교육혁신 중심으로  
시민 모두 안전하고 편리한 선진 교통 도시로 도약  
포토뉴스
전주문화재단, 한복문화 확산 거점으로 ‘우뚝’
전통문화도시 전주가 한복문화의 중심지로서 입지를 다시 한 번 굳혔다.전주시와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최락기)이 운영하는 ‘전주한복문화창작소 
전주문화재단, ‘AI 국악 크로스오버 작곡 공모전’ 개최
전주문화재단이 전통 국악과 인공지능 작곡 기술의 융합을 시도하는 두 번째 ‘AI 국악 크로스오버 작곡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 주제는 **‘ 
전북도립국악원, 베를린 국립오페라극장 무대에 선다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이 한국 예술단체로는 처음으로 독일 베를린 슈타츠오퍼 국립오페라극장에 진출한다. 오는 7월 27일 국악원의 대표 창 
순창군,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 참가자 모집… 8월 29일까지 접수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가 오는 9월 27일 토요일 순창군 강천산 군립공원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가요제는 순창군이 
완주 도서관에서 만나는 여름휴가, 인문학 강의 개막
완주군과 전북대학교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2025 인문학 지식나눔 강좌’가 오는 8일 오전 10시, 삼례도서관에서 첫 강의를 시작으로 본격 운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