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6 02:30:1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칼럼

[향기는 비처럼 가슴을 적시고(1-9)] 몸살에 대하여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입력 : 2023년 12월 06일
ⓒ e-전라매일
후미진 골목 비틀거리는 가로등 아래, 그녀는 움직임이 둔했 다. 그러나 두 눈에는 경계가 서려 있었다. 도움의 손길을 거부 한 채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기까지 했다. 그러나 그것이 마지 막 힘인 듯 그녀는 내 앞에서 맥없이 쓰러졌다.
취기가 오른 밤, 병원은 먼 곳에 있었다. 할 수 없이 그녀를 안 고 갈지자의 골목을 거슬러 집으로 왔다. 오는 동안 그녀는 무 슨 말인지 목에 걸린 소리를 뱉어냈다. 부린 몸에서는 역한 냄새 가 진동했다. 몸을 씻어주고 싶었지만 한기가 들 것 같아 그냥 이불을 덮어 뉘었다. 따뜻해서인지 그녀의 몸은 더 늘어졌다.
보이지 않는 인연의 줄이 생긴 그날, 늦은 잠에서 깼을 때 그 녀는 언제 정신을 차리고 일어났는지 쭈그려 앉아 나를 내려다 보고 있었다. 골목에서 어둠을 노려보던 눈이 아니었다. 그녀에 게서 나던 지독한 냄새도 맡을 수 없었다. 동화된 코는 서로의 냄새를 인식하지 못했다. 손을 머리에 얹어도 경계하지 않고 오 히려 눈을 지그시 감았다. 욕실로 그녀를 이끌어 조심스레 씻겼 다. 그녀는 출산을 경험한 듯 젖무덤이 늘어져 있었다.
서둘러 그녀의 거처를 마련했다. 차츰 걸음에 힘이 들어가고 회복의 속도만큼 목소리에도 생기가 돌았다. 앙상했던 갈비 사 이사이에 살이 차오르면서 신뢰도 두터워졌다. 이후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산책은 일상이 되었고, 잠시라도 떨어져 있다가 나를 보면 그녀는 괴성을 지르며 온몸을 비틀었다.
어쩌다 읍내의 늙은 선술집에서 주모와 막걸리 잔을 기울이 고 있으면 그곳을 어떻게 찾았는지 밀창문 앞에 앉아 있곤 했 다. 그녀의 앙칼진 목소리가 어떤 땐 강짜로도 들렸으나 오랜 독거를 경험한 나는 그녀의 질투가 그리 싫지 않았다.
낚시를 갈 때도 그녀는 차 문을 열기 무섭게 옆자리에 떡하니 올라탄다. 그날도 우리는 낚시터를 향했다. 붕어가 있을 것 같 은 자리를 찾아 낚싯대를 펴는 동안 그녀는 무슨 생각을 하는것인지 낚시터의 냄새를 헤적이며 여기저기 거닐었다. 아니나 다를까, 멀리 농로에 앉아서 우리를 바라보는 놈이 있었다. 그 녀도 그놈을 뚫어져라 쳐다보았다.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헛챔질로 붕어를 유인했다. 가끔 풀들 의 몸 부비는 소리 들려올 뿐 사위는 조용했다. 시간이 지나도 찌톱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따분한지 이따금 강물이 뒤척 였다. 그럴 때마다 물비늘이 반짝거렸고, 멀리 강 건너 소 울음 소리는 귀에 닿을 듯 닿을 듯 멀어지곤 했다.
나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자동차 트렁크에서 막걸리를 꺼 냈다. 소시지의 비닐을 벗겼다. 다른 때 같으면 냄새를 맡고 달 려올 그녀가 꼬랑지도 보이지 않았다. 아까 눈 마주쳤던 놈이 앉아 있던 곳을 바라보았다. 바람만 일렁일 뿐 아무도 없었다.
낚싯대의 예신*은 여전히 요지부동이었다. 거푸 마신 취기가 사그라질 때까지 한참을 기다려보아도 붕어의 입질은 없었다.
물비린내를 툭툭 털고 일어섰다. 해 질 녘을 주섬주섬 챙겨 실었다. 노을이 덜컹거리며 신작로를 앞질러 가고 있었다.
집에 도착해서도 나는 그녀를 생각하지 못했다. 여느 때처럼 이웃 마을에 마실을 갔거나 가끔 울타리 사이로 들랑거리는 가 슴팍 벌어진 놈과 싸돌아다니겠거니 했다. 낚시 가방을 내리면서 그녀를 낚시터에 두고 왔다는 걸 알아챘다.
그녀와 나를 번갈아 원망하며 다시 낚시터로 서둘러 향했다. 처음 갔던 길을 버리고 들판을 가로질러 갔다. 노을이 점점 검 붉어지고 있었다. 이별에 대한 두려움이 비포장 길처럼 덜컹거 렸다. 개장수 차가 스쳐 지나갔다. 그녀와 비슷한 털의 개는 없 었다. 십여 분 남짓이면 닿을 거리가 길게 느껴졌다. 낚시터에 가까워지자 더 불안했다. 처음에 주차했던 곳에 차를 세우고 돌 아보았다. 어스름이 들판에 스미고 있었다. 그녀를 부르는 내 목소리도 점점 어두워져 갔다.
한참을 낚시터에 앉아 있다가 하는 수 없이 자동차 시동을 걸었다. 돌아오는 길, 혹시라도 마주칠까 차창 밖 어둠을 헤드 라이트로 밀어내며 가다 서기를 반복했다. 그럴수록 이별에 대 한 두려움은 짙어져 갔다.
무거워진 바퀴를 끌고 마당에 들어섰다. 순간 낯익은 목소리 가 달려들었다. 그녀였다. 부둥켜안았다.
발바리도 똥개도 아닌 동희. 그녀를 만난 후 이처럼 반가운 적 있었던가. 그녀도 궁둥이를 흔들며 들어보지 못한 비음을 연 방 날려댔다. 들판으로 가로질러 가지 않았다면 마주칠 수도 있 었을 동희. 그러니까 그녀는 바퀴 냄새를 따라 시오리 길을 찾아온 것이다.
그날 그 사건 이후 그녀와 나는 더 깊어져 갔다. 발정이 올 때 청춘을 주체하지 못하고 바람이 난다는 것 말고는 다른 말짓을 한 적이 없다. 그녀는 그 지독한 연애 덕분에 지금까지 여남 번 의 출산을 했고, 제 목청 닮은 소리를 이웃 마을마다 늘려가고 있다.
사람의 나이로 치면 얼추 환갑이 넘었는데도 최근에 새끼 넷 을 또 낳았다. 그녀의 건강을 생각해 노산을 막고자 정조대를 만들어 채워도 보고, 옥상에 올려놓고 금줄을 쳐놓아도 소용없 다. 지들이 무슨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밤이면 세레나데를 갈 기는 통에 내가 늘 지고 마는 것이다.
살아 있다는 것은 우연이거나 필연이거나 만남에 있는 것이 듯 동희와의 인연도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인연이라는 보이지 않는 목줄. 풀어놓아도 다시 돌아오는 그 목줄 때문에 오는 몸 살, 나는 그 몸살을 사는 중이다.

/배귀선
시인


전라매일 기자 / 00hjw00@hanmail.net입력 : 2023년 12월 06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전북 대표 국립전주박물관, 새로운 35년을 열다  
“국정 혼란 속 도민 안정 · 민생 회복 의정활동 총력”  
임실교육지원청, 작지만 강한 교육혁신 중심으로  
시민 모두 안전하고 편리한 선진 교통 도시로 도약  
민선 8기, 무주다운 삶터·일터·쉼터로 눈도장  
변화의 10년, 도약의 1년… 다시 시민과 함께  
김제시 경제도약 이끌 구심점, 김제상공회의소 개소식  
전주세계소리축제 “본향의 메아리, 세계를 울리다”  
포토뉴스
순창군,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 참가자 모집… 8월 29일까지 접수
제4회 강천산 전국 가요제가 오는 9월 27일 토요일 순창군 강천산 군립공원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가요제는 순창군이 
완주 도서관에서 만나는 여름휴가, 인문학 강의 개막
완주군과 전북대학교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2025 인문학 지식나눔 강좌’가 오는 8일 오전 10시, 삼례도서관에서 첫 강의를 시작으로 본격 운 
한강 개인전 ‘소화받지 못한 자들’, 우진문화공간서 개최
우진문화공간 갤러리가 7월 3일부터 16일까지 한강 작가의 개인전 '소화받지 못한 자들 (Those who are not digested)'을 
전북관광기업 컨설팅&아카데미 성료
전북특별자치도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이경윤)과 전북특별자치도는 도내 관광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관광기업 맞춤형 컨설팅 
추억 여행, ‘근대어때’ 완주 삼례 3,700명 몰려
뜨거운 여름, 완주 삼례에서 근대문화가 다시 꽃피웠다.지난 6월 28일부터 29일까지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 일원에서 개최된 ‘2025년 근대역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