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2 08:59:3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PDF원격
검색
PDF 면보기
속보
;
뉴스 > 독자투고

노인학대, 관심만큼 예방할 수 있다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6월 16일
매년 6월 15일은 노인학대 예방의 날이다. 2006년 UN에서 매년 6월 15일을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로 지정하였고, 우리나라는 2017년 노인복지법에서 처음으로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지정하였다. 이는, 노인 학대 문제는 가정이나 시설 내의 사적 문제로 간주되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노인 인권 보호와 노인 학대 예방을 위해서는 이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배경으로 제정되었다.
최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여러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노인학대는 노인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사회문제이다.
노인학대란? 노인복지법 제1조의2 제4호 노인에 대하여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를 하거나 유기 또는 방임을 하는 것으로 보건복지부 2022 노인학대 현황 보고서를 보면 2022년 학대유형 건수는 총 10,542건으로 정서적 학대 4,561건(43.3%), 신체적 학대 4,431건(42.0%), 방임 689건(6.5%), 경제적 학대 397건(3.8%), 성적 학대 259건(2.5%), 자기 방임 169건(1.6%), 유기 36건(0.3%)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인학대 발생 장소는 가정 5,867건(86.2%)을 차지할 만큼 은폐성을 가지고 있다.
경찰은 학대 예방 전담 경찰관(APO)이 직접 노인 관련 시설을 방문하여 학대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등 사각지대에 방치된 학대 피해 노인들을 보호하고, 상습적이고 고질적인 노인 학대 사건에 대해 엄정 대응하고 있으며, 노인 보호 전문기관 관계자 등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피해 복구와 재발 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노인 학대 징후로는 ▲치료받지 못한 상처 및 부상이 있거나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에서 다툼, 욕설 등의 소리가 자주 들리거나 ▲노인에게 성적 수치심을 주는 행동을 하거나 ▲노인이 식사를 거르는 등 영양실조나 탈수 상태를 보이거나 ▲노인에게 필요한 의료적 처치를 하지 않고 ▲노인을 시설에 입소시킨 후 연락의 두절 등이 있다.
노인 학대 신고는 경찰서 112, 노인보호전문기관 1577-1389, 정부 민원 안내 콜센터 110, 앱스토어에서 나비새김(노인지킴이)을 다운받은 후 앱으로 신고할 수 있다.
지금부터 어르신이 보내는 작은 신호,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에 관심이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남의 가정사가 아닌 우리 사회의 문제라고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김대근
고창경찰서 여성청소년계


전라매일 기자 / 입력 : 2024년 06월 16일
- Copyrights ⓒ주)전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기획특집
임실교육지원청, 작지만 강한 교육혁신 중심으로  
시민 모두 안전하고 편리한 선진 교통 도시로 도약  
민선 8기, 무주다운 삶터·일터·쉼터로 눈도장  
변화의 10년, 도약의 1년… 다시 시민과 함께  
김제시 경제도약 이끌 구심점, 김제상공회의소 개소식  
전주세계소리축제 “본향의 메아리, 세계를 울리다”  
‘정읍보물 369’ 브랜드, 지역 도약의 ‘신호탄’  
<이정호 순창경찰서장 취임 100일> ‘군민과 함께하는 공동체 치안’ 실현 총력  
포토뉴스
전주문화재단, 오스트리아에서 수묵화 워크숍 개최
전주문화재단이 전주한지의 세계화를 위한 예술 교류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재단 산하 한지산업지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부터 7월 5일까지 오 
국립전주박물관, 개관 35주년 맞아 비전 선포
국립전주박물관이 개관 35주년을 맞아 새로운 비전과 정체성을 선포하고, 지역문화 중심 박물관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 
“쓰레기 없는 축제, 품격 있는 전주로”
전주가 환경과 품격을 동시에 갖춘 축제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 발걸음을 내딛었다.(재)전주문화재단(대표 최락기)과 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상 
“쓰레기 없는 축제, 품격 있는 전주로”
전주가 환경과 품격을 동시에 갖춘 축제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 발걸음을 내딛었다.(재)전주문화재단(대표 최락기)과 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상 
진북생활문화센터, 미술동호회 `바투` 회원전
전주 진북생활문화센터(센터장 한천수)가 운영하는 전시공간 ‘소소’에서 지역 미술 동호회 ‘바투’의 여섯 번째 회원전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오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주)전라매일신문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28. 501호 / mail: jlmi1400@hanmail.net
편집·발행인: 홍성일 / Tel: 063-287-1400 / Fax: 063-287-1403
청탁방지담당: 이강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미숙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전북,가00018 / 등록일 :2010년 3월 8일
Copyright ⓒ 주)전라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