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농촌 난개발과 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농촌공간 재구조화’ 정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3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자문회의를 개최하며 광역 자문체계의 첫 단추를 끼웠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 18일 장수군·남원시·임실군을 대상으로 농촌공간 재구조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회의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4월 공식 출범한 ‘전북 지역협의체’의 첫 활동으로, 전북 광역지원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농촌공간 재구조화는 지난 3월부터 시행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사업으로, 난개발 억제와 농촌 재생을 위한 체계적인 공간계획 수립이 핵심이다. 전북도는 이를 위해 광역지원기관 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이번 자문회의는 계획 수립 초기 단계부터 전문가의 실질적 조언을 반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새 정부의 농정 방향과 전북특별자치도 특례지구 정책의 연계성, 농촌 재생활성화지역 지정 시 부문 간 시너지 창출 방안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됐다.
특히 지역 여건을 반영한 농촌특화지구 지정방안과 함께, 농촌마을보호지구·축산지구·농촌융복합산업지구 등 세부 유형별 전략 수립에 대한 전문가들의 심도 깊은 자문이 이뤄졌다.
전북 지역협의체는 농촌계획, 지역개발, 환경, 농업경제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 25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전북 13개 시군이 추진 중인 농촌공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전반에 걸쳐 연속 자문을 이어갈 예정이다.
전북 광역지원기관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각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실효성 높은 공간계획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전문가 협업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인구 감소, 환경 훼손 등 농촌이 직면한 복합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혁신적 재구조화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하반기에는 나머지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후속 자문회의가 이어질 예정이며, 전북 전역의 농촌공간계획 수립이 보다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