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 전산망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하루 평균 323건, 약 4분 30초마다 한 번꼴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 국회 예결특위 위원장)이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정부 전산망 대상 해킹 시도는 총 55만 100건이었다.
국가별 발원지로는 미국이 12만 9,112건(23.5%)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이 7만 496건(12.8%)으로 뒤를 이었다. 두 나라가 합쳐 전체의 36.2%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 4만 9,261건, 독일 2만 7,792건, 인도 2만 1,462건, 러시아 2만 638건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행안부는 “공격 발원지는 우회 경로 때문에 실제 해커의 소재지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격 유형은 정보유출 18만 6,766건(34.0%), 시스템 권한획득 12만 2,339건(22.2%), 정보수집 11만 739건(20.1%)이 많았고, 홈페이지 변조도 6만 5,545건에 달하는 등 탈취·침투형이 과반을 차지했다.
광역자치단체 전산망을 겨냥한 해킹 시도는 5년간 5만 7,060건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강원이 8,676건으로 최다였고, 경남 5,493건, 경기 5,463건, 전남 4,441건, 대전 4,212건 순이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합계 9,928건에 근접할 정도로 비수도권 지역의 공격 빈도가 높다는 점이 드러났다.
한병도 의원은 “사이버안보는 곧 국가안보이자 국민안전”이라며 “매일 300건이 넘는 공격은 사실상 상시 ‘사이버 전쟁’ 상황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원 등 비수도권 지자체가 수도권 못지않은 공격에 노출된 만큼 관제·인력·장비의 지역 격차를 점검하고, 고위험 유형을 정밀 분류해 선제 차단과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